
3D 가우시안 스플래터링(3DGS)은 실시간 렌더링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반사율 필드 재구성 기술을 크게 발전시켰다. 그러나 기하 구조 표현에 가우시안 커널을, 색상 인코딩에 저차수 구면 조화함수(Spherical Harmonics, SH)를 사용하는 방식은 복잡한 기하 구조와 다양한 색상을 정확히 포착하는 데 한계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기하 구조와 색상 표현 능력을 동시에 향상시킨 변형 가능하고 컴팩트한 새로운 접근법인 변형 가능한 베타 스플래터링(Deformable Beta Splatting, DBS)을 제안한다. DBS는 가우시안 커널 대신 경계가 있는 지지 영역(bounded support)과 적응형 주파수 제어가 가능한 변형 가능한 베타 커널을 도입함으로써, 더 높은 정밀도로 미세한 기하 구조를 재현하면서도 메모리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베타 커널을 색상 인코딩에 확장함으로써 반사 및 반사광 성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는 기존 SH 기반 방법에 비해 훨씬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더불어 기존 밀도 증가 기법이 가우시안 성질에 의존하는 반면, 본 연구는 정규화된 투명도만 조정함으로써 분포 보존 특성을 갖는 마르코프 체인 몬테카를로(Markov chain Monte Carlo, MCMC)를 보장할 수 있음을 수학적으로 입증하였다. 이는 스플래터링 커널의 유형에 관계없이 성립한다. 실험 결과, DBS는 3DGS-MCMC 대비 파라미터 사용량의 45%만으로도 최첨단 수준의 시각적 품질을 달성하며, 렌더링 속도는 1.5배 빠르게 작동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DBS가 실시간 반사율 필드 렌더링에서 뛰어난 성능을 발휘함을 시사한다. 인터랙티브 데모 및 소스 코드는 본 연구의 프로젝트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https://rongliu-leo.github.io/beta-splat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