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전

이질적 그래프 상에서 잠재적 동질성 구조를 정제하여 강건한 그래프 컨볼루션 네트워크 구현하기

Chenyang Qiu, Guoshun Nan, Tianyu Xiong, Wendi Deng, Di Wang, Zhiyang Teng, Lijuan Sun, Qimei Cui, Xiaofeng Tao
이질적 그래프 상에서 잠재적 동질성 구조를 정제하여 강건한 그래프 컨볼루션 네트워크 구현하기
초록

그래프 컨볼루션 네트워크(GCNs)는 공간 데이터로부터 지식을 탐색하는 다양한 그래프 작업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노드 분류를 위한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이질적 그래프(heterophilic graphs)에서 GCN의 견고성(robustness)을 정량적으로 탐구한 최초의 시도이다. 우리는 주요 취약성의 원인이 구조적 분포 외부(out-of-distribution, OOD) 문제에 기인함을 밝혀냈다. 이 발견은 이질적 그래프 상에서 잠재적인 동질적 구조(latent homophilic structures)를 자동으로 학습함으로써 GCN의 견고성을 강화하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안하게 되었다. 이를 LHS(Latent Homophilic Structures)라 명명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초기 단계에서는 다중 노드 상호작용 기반의 새로운 자기표현(self-expressive) 기법을 활용하여 잠재적 구조를 학습한다. 이후, 쌍별 제약 조건을 가진 이중 시점 대조 학습(dual-view contrastive learning) 방식을 통해 해당 구조를 정제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GCN 모델이 이질적 그래프에서도 동질적 방식으로 정보를 집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적응형 구조를 갖추게 되면, 이질적 그래프 상에서의 구조적 OOD 위협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 다양한 벤치마크에서 수행된 실험을 통해 제안된 LHS 방법론이 견고한 GCN 구현에 효과적임을 입증하였다.

이질적 그래프 상에서 잠재적 동질성 구조를 정제하여 강건한 그래프 컨볼루션 네트워크 구현하기 | 최신 연구 논문 | HyperAI초신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