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전

이중 모순적 생성 오토인코더

Gaurav Parmar, Dacheng Li, Kwonjoon Lee, Zhuowen Tu
이중 모순적 생성 오토인코더
초록

우리는 동시에 추론(재구성)과 합성(샘플링)을 수행하는 생성형 오토인코더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중 모순적 대조 손실(dual contradistinctive losses)을 도입한 새로운 생성형 오토인코더 모델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모델은 이중 모순적 대조 생성형 오토인코더(Dual Contradistinctive Generative Autoencoder, DC-VAE)로, 개별 인스턴스 수준의 판별 손실(재구성/합성 시 인스턴스 수준의 충실도 유지)과 집합 수준의 적대적 손실(재구성/합성 시 집합 수준의 충실도 촉진)을 결합한 이중 모순적 대조 손실을 통합하였다. DC-VAE는 32×32, 64×64, 128×128, 512×512 등 다양한 해상도에서 광범위한 실험 결과를 보고한다. VAE 내부에서 작동하는 두 가지 모순적 대조 손실은 DC-VAE에서 조화롭게 작용하여 아키텍처 변경 없이 기준 VAE 모델 대비 상당한 정성적·정량적 성능 향상을 달성하였다. 이미지 재구성, 이미지 합성, 이미지 보간, 표현 학습 등 다양한 측면에서 최신 기술 수준 또는 경쟁력 있는 성능을 기록하였다. DC-VAE는 컴퓨터 비전 및 머신러닝 분야에서 다양한 후속 작업에 적용 가능한 일반 목적의 VAE 모델이다.

이중 모순적 생성 오토인코더 | 최신 연구 논문 | HyperAI초신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