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전

방향성 그래프 네트워크

Dominique Beaini, Saro Passaro, Vincent Létourneau, William L. Hamilton, Gabriele Corso, Pietro Liò
방향성 그래프 네트워크
초록

그래프 신경망(GNN)에서 이방향 커널의 부재는 표현력에 심각한 제약을 초래하며, 과도한 평탄화(over-smoothing)와 같은 잘 알려진 문제를 야기한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우리는 GNN에 대한 처음으로 전역적으로 일관된 이방향 커널을 제안한다. 이 커널은 위상적으로 유도된 방향성 흐름에 따라 정의된 그래프 컨볼루션을 가능하게 한다. 먼저, 그래프 내에 벡터장(vector field)을 정의함으로써, 노드별 메시지를 해당 벡터장에 투영함으로써 방향 도함수를 적용하고 스무딩을 수행하는 방법을 개발한다. 그 다음, 라플라시안 고유벡터를 이러한 벡터장으로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이 n차원 격자 위의 CNN을 일반화하며, Weisfeiler-Lehman 1-WL 테스트 관점에서 기존 GNN보다 증명 가능한 더 높은 구분 능력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다양한 표준 벤치마크에서 제안 방법을 평가한 결과, CIFAR10 그래프 데이터셋에서 상대 오차 감소율이 8%에 달했으며, 분자 데이터셋인 ZINC에서는 11%에서 32%까지 감소하였고, MolPCBA 데이터셋에서는 정밀도가 1.6% 상승하였다. 본 연구의 중요한 성과 중 하나는, 그래프 네트워크가 무 supervision 방식으로 방향성을 임베딩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물리적 또는 생물학적 문제에서 다양한 이방향 특성을 더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방향성 그래프 네트워크 | 최신 연구 논문 | HyperAI초신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