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perAI초신경
Back to Headlines

기술 발전과 인구 감소: 선진국의 출산율 하락 현상 분석

2일 전

지구상에서 가장 발전한 사회에서는 이상한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기술이 더욱 발전할수록 사람들은 아이를 낳는 것을 기피하는 추세다. 출산율은 선진국 전역에서 급락하고 있으며, 일본, 한국, 이탈리아, 독일 등은 인구가 줄어들고 있다. 동시에 기술은 빠르게 발전하여 인공지능(AI)이 노동을 재구성하고, 돌봄을 자동화하며, 경제 기능을 재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들이 서로 영향을 미치면서 사회의 유지와 필요성에 대한 의미를 바꾸고 있다. 이 시리즈의 첫 번째 부분에서는 기술 발전이 아이를 낳는 것을 기피하게 만드는지, 그리고 정부가 인구 감소를 막기 위해 어떤 조치를 취했는지를 탐구한다. 18세기에 프랑스 파리는 유럽에서 가장 발전한 도시 중 하나였다. 가스등이 설치된 살롱, 볼테르, 루소, 디데로 등의 저작으로 넘쳐났던 도서관, 1760년 설립된 페티 포스트(Petite Poste), 1724년부터 운영된 파리 증권거래소(The Bourse de Paris) 등이 있었다. 그러나 이 시대의 첨단 문명에도 불구하고, 파리는 위생 상태가 열악하고 질병이 창궐하여 어린이 사망률이 매우 높았다. 당시 파리의 일부 도시 지역에서는 5세 미만 어린이의 50%가 5세 전에 사망했다. 질병이 좁은 아파트를 휩쓸었으며, 의학적 지식도 제한적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랑스 인구는 계속 성장했다. 아이를 낳는 것은 가족 사업을 이어가는 방식이자 노후를 대비하는 사회적 보험이라는 인식이 강하기 때문이었다. 가족들은 다섯, 여섯, 일곱 명의 아이를 낳았고, 대부분이 살아남아 가족 사업을 이어갈 것으로 기대했다. 이런 추세는 19세기까지 계속되었다. 그러나 산업혁명이 도시로 확산되면서 상황이 급격히 변했다. 청정 수돗물 시스템, 하수道 시스템, 우유의 살균, 공중보건 개혁 등 혁신적인 기술들이 어린이 사망률을 크게 줄였다. 유럽 전역에서 5세 미만 어린이 사망률은 1740년대 약 300-500명당 300명에서 1820-30년대에는 1,000명당 150명으로 반으로 줄었으며, 19세기 말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부모들이 대부분의 자녀가 살아남을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게 되면서, 아이를 많이 낳는 것이 더 이상 합리적이지 않게 되었다. 기술이 생명을 구했지만, 부수적으로 출산을 기피하는 요인이 되었다. 21세기 25년째가 되면서 이 기피현상은 더욱 심해졌다. 영국, 이탈리아, 일본, 독일 등 최진국들의 인구는 줄어들고 있다. 영국의 출산율은 2023년 1.62에서 현재 1.66으로 소폭 회복되었지만, 여전히 대체율(1인당 2.1명의 자녀)에 미치지 못한다. 이탈리아는 1.29, 일본은 1.30, 독일은 1.53으로, 대체율에 크게 미치지 못한다. 캐나다 역시 유럽의 사회정책과 미국의 자본주의 사이의 중간 지점으로 여겨졌으나, 출산율은 1.47로 떨어졌다. 발전한 사회에서는 아이를 낳는 것을 덜 원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그 답은 '자유'라는 단어에서 찾을 수 있다. 직업을 갖거나 더 나은 주거 환경을 누리며, 세계여행을 하고, 자신의 투자를 하는 등의 자유가 가능해짐에 따라, 아이를 낳는 것에 대한 계산이 바뀌었다. 특히 기술이 사회를 기계화하고 도시화하면서 경제가 다양화되었다. 결혼이나 출산이 사회적, 경제적 안정을 위한 기본 경로가 아니게 되었고, 여성들은 전통적인 가정 구조 없이도 직장에 진출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양질의 교육, 전문적인 직업, 재정적 독립은 가치를 가지게 되었으며, 삶의 선택권이 크게 늘어났다. 데이터는 이러한 변화를 확인해주고 있다. 1960년대에 OECD 국가들의 평균 출산율은 1인당 3.3명의 자녀였으나, 여성의 유급 노동 참여가 일반화되면서 출산율은 급격히 떨어졌다. 현재 OECD 국가들의 출산율은 1.4-1.5 정도로, 전반적으로 인구 감소가 현실화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 급속한 산업화로 인해 여성 대학 등록률이 1990년 31%에서 2008년 84%로 급증했으며, 여성의 노동 시장 참여율도 상승했지만, 출산율은 2022년 0.78%까지 떨어졌다. 장시간 근무, 성별 규범, 높은 교육 및 주택 비용은 직장 생활 외에 아이를 낳는 것이 호사처럼 느껴지게 만들었다. IMF의 최근 분석에 따르면, 디지털화와 도시화가 출산율 하락을 가속화시키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도시 생활은 주택, 교육, 보육 비용을 상승시키면서 동시에 경력 중심의 삶을 가능하게 한다. 개인의 자율성이 높아질수록 아이를 늦추거나 포기하는 유혹이 강해진다. 이 추세는 확실하다. 1965년 전 세계 평균 출산율은 5명이었으나, 1985년에는 2.5명 아래로 떨어졌고, 현재는 1.5-2 사이에 머물러 있다. 전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대체 출산율 미만의 국가에서 살고 있다. 이런 현상이 긍정적으로 들릴 수 있지만, 문제는 늙어가는 인구가 너무 많다는 것이다. 고령화 인구는 돌봄이 필요하다. 고령화 인구가 늘어나면서 병원, 요양 시설, 주택 공급, 연금 기금 등 현대 사회를 지탱하는 시스템에 큰 부담이 가한다. 근로 가능한 연령대의 인구가 줄어들면서 세수가 부족해지고, 이로 인해 전체 시스템이 무너질 위기에 처했다. OECD는 고령화로 인해 세입이 8% 감소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정부들은 이 문제를 인식하고 있으며, 많은 나라가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유급 육아휴직, 저렴한 보육 서비스, 유연한 근무 환경 등 지원 정책을 도입한 나라는 출산율이 안정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예를 들어, 북유럽 국가들은 출산율이 OECD 평균을 웃돌며, 이는 문화가 근본적으로 다르기보다는 가족 지원 인프라에 투자한 결과이다. 하지만 정부들이 아무리 노력해도 시간이라는 벽을 넘기는 어렵다. 출산율 개선은 선거 사이클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다. 오늘날 보육 지원이 즉시 세금을 내는 300,000명의 유아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이런 상황에서 정치적 선택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출산율을 끌어올리는 것이 너무 느리다면, 이민을 늘리는 것이 유일한 해결책으로 보이지만, 이는 민감한 이슈이다. 영국에서는 최근 선거에서 국경 통제에 대한 긴장감이 높아져서 리폼 당의 지지율이 상승했으며, 케이어 스타머 총리 역시 이민이 과도하다고 언급했다. 미국에서도 도널드 트럼프는 이민 제한을 강조하며 선거를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출산율 제고와 이민 확대가 어렵다면, 남은 해결책은 무엇일까? 아시아, 특히 일본, 한국, 싱가포르 등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 자동화, AI, 로봇 기술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음 주에 이어지는 시리즈 두 번째 부분에서는 이러한 미래의 모습을 탐구할 것이다. 로봇 돌보미, AI로 생성된 생산성 등을 통해 세계 최고의 국가들이 축소된 인구에도 불구하고 번성할 수 있는 방법을 살펴볼 것이다. 기술 발전과 인구 감소가 맞물리면서 사회의 구조적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정부들이 다양한 정책을 통해 출산율을 끌어올리려 노력하고 있지만, 효과를 보기까지 시간이 걸린다. 고령화와 인구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자동화, AI, 로봇 기술 등 새로운 접근 방식이 필요해 보인다. 이러한 기술들은 노동력 부족과 경제적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고 있으며, 앞으로의 연구와 정책 개발이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Related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