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오픈AI의 3억 달러 거래 무산시켜 인재 훼방
구글이 오픈AI와의 30억 달러 거래를 무산시키면서 실리콘밸리의 인공지능(AI) 경쟁에서 새로운 전략인 '비인수 인수'를 더욱 강화했다. 구글은 7월 11일,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AI 스타트업 윈드서프(Windsurf)에서 핵심 인력을 영입한다고 발표했다. 이 발표로 인해 오픈AI가 윈드서프를 30억 달러에 인수하려던 계획이 무위에 그쳤다. 구글은 24억 달러를 지불하여 윈드서프의 최고경영자(CEO)를 포함한 주요 인력을 영입하고, 비독점적인 기술 라이선스를 획득했다. 이로써 구글은 오픈AI의 성장을 저지하면서 동시에 가치 있는 AI 기술에 접근할 수 있었다. 최근 이러한 '비인수 인수' 전략은 큰 기술 회사들이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선호하는 전술이 되었다. '비인수 인수'는 'acqui-hire'라고도 불리며, 기업이 스타트업 자체를 인수하지 않고 해당 스타트업의 최고 인재들을 영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오픈AI는 2022년 챗GPT를 출시하며 AI 열풍을 일으키고, 이후 생성형 AI 분야에서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했지만, 구글과 메타(Meta) 같은 대형 기업들의 도전으로 시장 점유율이 위협받고 있다. 오픈AI는 특히 메타의 적극적인 인재 유치로 어려움을 겪었다. 메타 CEO 마크 주커버그는 2025년 4월, 회사가 AI 경쟁에서 뒤처졌다고 인정하면서, 전략적인 인재 영입을 위한 수십억 달러의 예산을 편성했다. 메타는 스케일AI CEO 알렉산드르 왕, 애플의 최고 AI 전문가 루오밍 팡, 그리고 마이크로소프트 소유의 깃허브(GitHub) 전 CEO 네트 프리드먼을 비롯한 여러 오픈AI 주요 인력을 영입했다. 이들은 메타가 개발 중인 AI 슈퍼인텔리전스 연구실인 메타 슈퍼인텔리전스 랩스(Meta Superintelligence Labs)에서 일하게 된다. 마이크로소프트와 아마존도 지난해 유사한 '비인수 인수' 거래를 체결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AI 스타트업 인플렉션(Inflection)의 공동 설립자인 무스타파 수레이만을 비롯한 주요 인력을 영입했으며, 수레이만은 현재 마이크로소프트의 AI 부서를 이끌고 있다. 아마존은 AI 에이전트 스타트업 애悧트(Adept)의 공동 설립자와 주요 인력을 영입했다. 구글 역시 이 전략을 처음으로 사용한 것은 아니며, 약 1년 전 캐릭터.AI(Character.AI)와 비슷한 거래를 체결하여 비독점적인 LLM 기술 라이선스를 획득하고, 두 공동 설립자가 구글에 합류했다. 이러한 '비인수 인수' 전략은 규제 회피의 새로운 방법론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 전략은 전 FTC 의장 리나 칸(Lina Khan)이 집권하던 시기에 큰 기술 기업들의 반경쟁 행위에 대한 집중적인 규제 압력이 있었던 후에 등장했다. 칸의 관리 하에서는 AI 산업에서의 반경쟁 행위에 대한 제재가 강화되었지만, 메타와 구글은 여전히 FTC의 감시 아래 있다. 메타는 FTC가 소셜 미디어 시장에서 독점을 행사한다는 이유로 반독점 소송을 진행 중이며, 구글은 인터넷 검색과 온라인 광고 시장에서의 독점 혐의로 여러 차례 반독점 패배를 겪었다. 구글은 크롬 브라우저의 분리를 요구받을 가능성이 있는 재판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마지막으로, 트럼프 대통령이 임명한 FTC 의장 앤드류 퍼거슨(Andrew Ferguson)이 이 전략에 대해 어떤 입장을 취할지는 아직 불확실하다. 퍼거슨은 칸처럼 큰 기술 기업에 대해서 강경한 태도를 보이지는 않지만, 전 행정부의 조사를 대부분 유지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도 홀라(Holol)에서 실리콘밸리 리더들과 접촉하면서, 이 문제가 어떻게 처리될 것인지에 대한 미래를 예측하기 어렵다. 퍼거슨의 FTC와 트럼프 행정부가 이 새로운 규제 회피 전략에 대해 어떻게 대응할지는 미국의 큰 기술 기업들과 AI 산업의 미래를 결정할 것이다. 이번 구글의 움직임은 오픈AI의 AI 기술과 인재들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 동시에 구글의 AI 경쟁력을 강화하는 중요한 전략이었다. 또한, 이 사건은 큰 기술 기업들이 규제를 회피하면서 시장 지배력을 확대하려는 새로운 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구글과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등의 기업들은 앞으로도 이 전략을 활용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FTC와 정부의 대응이 중요한 포인트가 될 것이며, 이에 대한 명확한 규제 입장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업계에서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