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ritech 스타트업 오르카드 로보틱스, 2200만 달러 시리즈 A 라운드 성공…농장 AI 시각화 기술로 과수원 관리 혁신
컬럼 대학에서 컴퓨터 과학을 전공하던 중 중국의 사과 농부였던 할아버지와 할머니의 농장 이야기에 영감을 받은 찰리 우는 농업에 기술을 접목하려는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그는 세계 최고의 농업 전문가들과 만나며, 미국의 대규모 농장조차도 필드에서 어떤 작물이 자라고 있는지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현실을 알게 됐다. 이에 따라 우는 컬럼을 중퇴하고 틸 펠로우가 되어 2022년 오르차드 로보틱스를 설립했다. 이번에 오르차드는 퀘이트 캐피탈과 쇼인 캐피탈이 주도한 시리즈 A 투자에서 2200만 달러를 유치했으며, 기존 투자자인 제너럴 캐피털과 컨트레리도 참여했다. 우는 현재 미국의 대규모 과수원과 포도원에서 주로 사용되는 수작업 샘플링 방식이 정확도가 낮고, 비료 사용량, 인력 채용, 수확량 예측 등 핵심 의사결정에 큰 영향을 준다고 지적했다. 오르차드의 솔루션은 트랙터나 농기계에 장착되는 소형 카메라를 활용해 고해상도 이미지를 촬영하고, AI가 과일의 크기, 색상, 건강 상태를 분석한다. 수집된 데이터는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로 통합돼, 어떤 나무에 비료를 더 주거나 가지치기, 과실 밀도 조절이 필요한지 판단하는 데 사용된다. 현재 오르차드는 사과, 포도 외에도 블루베리, 체리, 아몬드, 피스타치오, 유제품과 딸기 농가에도 기술을 확장 중이다. 경쟁사로는 큐바타가 인수한 블룸필드 로보틱스, 비비드 로보틱스, 그린 아틀라스 등이 있다. 우는 현재 과일·채소 데이터 시장이 15억 달러에 불과하다고 인정하지만, 향후 AI가 자율 결정을 내릴 수 있게 되면 시장이 크게 확장될 것으로 전망한다. 그는 오르차드의 목표가 단순한 데이터 수집을 넘어, 데이터 기반 운영체계를 구축하고 결국 농장의 모든 업무 프로세스를 장악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패밀리 세이프티처럼 초기에는 단순한 정보 수집에서 시작해, 다양한 기능으로 확장된 사례를 벤치마킹한 전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