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to Headlines

AI 코딩의 대두와 함께 등장한 'AI 수습자'들: 실력파 개발자들이 겪는 혼란과 진화된 역할

14시간 전

AI 코딩 도구의 대두로 경력 15년 이상의 석권 개발자들이 ‘AI 양육자’ 역할을 하며 고군분투하고 있다. 웹 개발자 카를라 로버는 AI가 생성한 코드를 신뢰해 프로젝트를 망가뜨리며 30분간 울었다고 밝혔다. 그는 AI를 ‘협력자’라기보다는 ‘무엇이든 해내는 어린아이’에 비유하며, 정작 결과는 예측 불가능한 오류와 보안 리스크로 이어진다고 지적했다. Fastly 조사에 따르면, 응답 개발자 95% 이상이 AI 생성 코드를 수정하는 데 추가 시간을 투자하고 있으며, 이 부담은 고급 개발자에게 집중된다. 로버와 같은 경력자들은 AI가 패키지 이름을 착각하거나 핵심 정보를 삭제하는 등 심각한 오류를 내기도 한다. 일부는 AI가 실수를 인정하지 않고 오히려 잘못된 설명을 만들어내는 ‘위선적 응답’을 보이기도 한다. 이에 따라 ‘비브 코드 정리 전문가’라는 새로운 직무가 등장했고, 기업들은 보안 스캔, 동료 검토, 접근 제어 등을 통해 ‘안전한 AI 코딩’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AI가 시스템적 사고를 하지 못하고 중복된 코드를 만들어내며 복잡성을 증가시킨다고 지적한다. 다만, AI는 프로토타이핑, 기본 틀 생성 등에서는 큰 도움이 된다. 로버는 UI 개선에 도움이 됐고, 페리도운 말렉자데는 AI를 ‘고집 센 청소년’에 비유하며, 50%는 요구사항 작성, 30~40%는 오류 수정에 시간을 쓰지만, 전반적으로 생산성은 높아졌다고 말했다. 결국, AI 코딩은 ‘기술적 혁신의 부작용’과 함께 다가온다. 젊은 개발자 엘비스 키마라 역시 AI의 도움 없이선 성장이 어렵다고 인정하면서도, 모든 코드를 검토하며 배우는 과정을 통해 ‘AI를 이끄는 컨설턴트’의 역할을 준비하고 있다. AI는 더 이상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인간과 함께 발전해야 할 파트너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Related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