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Turns Single Dog Photo into Lifelike 3D Animated Companion
한국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반려동물인 개의 3D 모델을 단일 사진에서 정교하게 복원하고 애니메이션을 생성하는 AI 기술 'DogRecon'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개의 품종 특성과 신체 구조를 반영하는 통계 모델과 생성형 AI를 결합해, 눈에 보이지 않는 부위까지 고해상도로 재구성한다. 특히 고전적인 3D 재구성 기법이 어려워했던 다리, 꼬리, 털 등의 복잡한 형태와 자세를 자연스럽게 재현하며, 기존 기술이 자주 발생시켰던 왜곡된 자세나 비현실적인 외형을 극복했다. 고성능의 가우시안 스플래팅 기술을 활용해 털 질감과 곡선형 몸체까지 사실감 있게 표현한다. 실험 결과, 동영상 기반 기법과 비슷한 수준의 정확도를 단 한 장의 이미지로 달성했으며, 텍스트 기반으로도 3D 개를 생성하거나 기존 영상에 동작을 리타겟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기술은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메타버스 등에서 반려동물의 디지털 아바타를 구현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연구를 주도한 조경수 연구원은 “반려동물이 가정에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만큼, 인간 외의 생물에 대한 3D 재현 기술 확장은 중요한 과제였다”며, 누구나 자신의 반려견을 디지털로 재탄생시킬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김동건 교수는 “생성형 AI와 3D 재구성 기술의 융합을 통해 반려동물의 현실감 있는 디지털 존재를 실현했다”며, 향후 다른 동물과 개인화된 아바타로의 확장 가능성을 언급했다. 해당 연구는 국제 컴퓨터비전저널(IJCV)에 2025년 3월 게재됐다.